2024.06.01 (토)

  • 구름많음속초17.0℃
  • 구름조금25.0℃
  • 맑음철원23.8℃
  • 맑음동두천23.0℃
  • 맑음파주23.0℃
  • 흐림대관령11.6℃
  • 구름조금춘천24.6℃
  • 맑음백령도17.6℃
  • 비북강릉15.6℃
  • 구름많음강릉16.3℃
  • 구름많음동해17.4℃
  • 맑음서울23.8℃
  • 맑음인천20.7℃
  • 맑음원주24.3℃
  • 구름많음울릉도17.6℃
  • 맑음수원21.6℃
  • 구름많음영월19.7℃
  • 맑음충주23.7℃
  • 맑음서산21.8℃
  • 구름많음울진16.7℃
  • 맑음청주24.0℃
  • 맑음대전23.8℃
  • 맑음추풍령22.4℃
  • 구름조금안동23.9℃
  • 맑음상주24.3℃
  • 흐림포항18.6℃
  • 맑음군산20.9℃
  • 구름많음대구25.7℃
  • 맑음전주22.1℃
  • 구름많음울산19.2℃
  • 구름조금창원22.9℃
  • 맑음광주22.8℃
  • 구름많음부산21.4℃
  • 구름많음통영23.8℃
  • 맑음목포20.2℃
  • 맑음여수25.2℃
  • 맑음흑산도18.7℃
  • 맑음완도23.0℃
  • 맑음고창21.0℃
  • 맑음순천22.1℃
  • 맑음홍성(예)22.3℃
  • 맑음22.0℃
  • 맑음제주21.9℃
  • 맑음고산18.4℃
  • 맑음성산21.6℃
  • 맑음서귀포23.7℃
  • 맑음진주25.8℃
  • 맑음강화20.8℃
  • 맑음양평24.2℃
  • 맑음이천23.5℃
  • 구름조금인제18.4℃
  • 맑음홍천24.1℃
  • 흐림태백12.5℃
  • 구름많음정선군18.7℃
  • 맑음제천22.3℃
  • 맑음보은22.6℃
  • 맑음천안22.6℃
  • 맑음보령20.0℃
  • 맑음부여23.3℃
  • 맑음금산22.7℃
  • 맑음23.2℃
  • 맑음부안20.2℃
  • 맑음임실21.2℃
  • 맑음정읍21.6℃
  • 구름조금남원22.9℃
  • 구름조금장수19.8℃
  • 맑음고창군21.6℃
  • 맑음영광군20.2℃
  • 구름많음김해시22.0℃
  • 맑음순창군22.6℃
  • 구름많음북창원24.3℃
  • 구름조금양산시23.2℃
  • 맑음보성군24.8℃
  • 맑음강진군23.7℃
  • 맑음장흥23.1℃
  • 맑음해남21.9℃
  • 맑음고흥25.3℃
  • 구름조금의령군25.9℃
  • 맑음함양군24.9℃
  • 맑음광양시24.7℃
  • 맑음진도군20.5℃
  • 구름많음봉화18.1℃
  • 맑음영주22.8℃
  • 맑음문경23.1℃
  • 구름많음청송군18.3℃
  • 구름많음영덕16.9℃
  • 구름조금의성24.9℃
  • 맑음구미25.2℃
  • 구름많음영천20.1℃
  • 흐림경주시20.2℃
  • 맑음거창23.6℃
  • 구름조금합천26.8℃
  • 구름많음밀양24.2℃
  • 맑음산청24.9℃
  • 구름조금거제22.6℃
  • 맑음남해25.5℃
  • 구름많음23.1℃
기상청 제공
[전문가 컬럼] 모차르트 이야기㊲ 절정에 이른 모차르트의 명성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컬럼] 모차르트 이야기㊲ 절정에 이른 모차르트의 명성

임송 문화예술학 박사
여수필하모닉오케스트라 대표 예술감독

일괄편집_임송박사 자료제공.jpg
임송 박사 자료제공 - 루돌프 부흐빈더(Rudolf Buchbinder, 1946~ ) 체코슬로바키아 출생으로 현재 오스트리아의 세계 정상급 클래식 피아니스트 그라페네그 축제(Grafenegg Festival)의 예술감독

 

[전문가 컬럼=한국복지신문] 정지훈 기자= 최초의 유료 예약연주회

1784년(28살) 1월, 모차르트는 빈(Wien)의 그라벤(Graben) 29번지에 있는 트라트너호프(Trattnerhof)의 아파트로 이사했다.

 

건물주인 트라트너는 출판업과 서점을 경영하는 재력가로, 모차르트를 후원하기로 하고 자신의 아래층을 제공하였다. 이 아파트는 연주홀과 카지노방이 별도로 있는 매우 큰 건물이었다. 그의 부인 테레제 포 트라트너는 모차르트의 제자였다. 이들 부부는 모차르트 자녀들의 대부, 대모가 되기도 했다.

 

모차르트는 2월 9일부터 자신의 곡에 번호를 붙이기 시작했다. 새로운 피아노협주곡을 연이어 작곡하면서 떠오른 생각이었다. 첫 번째로 번호를 기록한 곡이 피아노 협주곡 내림마장조(K.446)였다. -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k.~’로 분류하는 쾨헬번호는 모차르트가 사망한지 71년 후인 1862년에 루트비히 폰 쾨헬(Ludwig von Köchel, 1800~1877)이 붙이기 시작한 것으로 당시 모차르트가 붙인 번호는 이것과 다르다]

 

1784년 봄, 모차르트는 빈 음악계의 인기 음악가가 되어 있었다. 음악애호가들의 관심이 모아지자 모차르트는 새로운 모험을 시도했다. 트라트너의 소개로 알게 된 두 명의 파트너 G.F 리히터(네덜란드의 피아노 교사)와 L. 피셔(성악가, 베이스)에게 자신이 새롭게 작곡한 세 곡의 피아노협주곡(K.449, K,450, K451)으로 예약연주회를 개최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의기투합한 세 사람은 3월 17일부터 매주 수요일(3월 17일, 24일, 31일)에 트라트너호프 아파트 연주홀에서 연주회를 열기로 하고 예약회원을 모았는데, 174명이 모집되었다. 굉장한 호응이었다.

 

예약권은 한 사람당 6플로린, 모두 합쳐 1,000플로린(약 5,000만원, 18C까지의 통화환산기준)이었다. 모차르트는 기쁜 마음으로 아버지에게 편지를 썼다.

 

모차르트가 아버지에게

 - 빈에서, 1784년 3월 20일

 

제 예약자 전체의 리스트입니다. (174명의 예약자 이름을 꼼꼼히 기록한 다음) 저 혼자서, 리히터와 피셔가 모은 것을 합친 것보다 30명이나 더 많은 예약을 모집하였습니다. 이달 17일의 첫 발표회는 잘 진행되었습니다. 홀은 꽉 찼고요. 그리고 제가 연주한 새로운 협주곡(피아노협주곡 K 449)은 매우 인기를 끌어서, 어디를 가나 이 발표회를 칭찬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내일 극장에서 제 첫 발표회가 있을 예정이었는데, 루이 리히텐슈타인 후작이 자신의 저택에서 오페라를 열고 중요한 귀족들을 제게서 빼앗아 갔을 뿐 아니라 오케스트라의 가장 우수한 멤버까지 끌어갔습니다. 그래서 저는 인쇄한 포스터를 만들어 발표회를 4월 1일로 연기했습니다. (후략)

 

모차르트는 세 곡의 협주곡 오케스트라 구성에서 관악기를 생략하고 실내악 형태로 연주할 수 있도록 편성하여 직접 초연했다. 청중들의 열렬한 반응은 모차르트에게 좀 더 깊이 있는 곡을 보이고 싶은 동기를 불어넣었다. 트라트너의 연주홀에는 흥분과 감동이 가득했다.

 

이 곡은 그가 자신의 음악 노트에 입력한 첫 번째 작곡으로, 이후 7년 동안 주요 주제, 완성 날짜 및 기타 중요한 정보를 기록하여 보관했다.

 

다음 연주는 루돌프 부흐빈더(Rudolf Buchbinder, 1946~)가 140년 전, 빈에서의 모차르트처럼 직접 지휘하며 피아노를 연주하는 영상이다.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제14번 내림마장조 K.449

Concerto for piano & Orchestra No.14 in Eb major

제1악장 알레그로 비바체(Allegro vivace)

제2악장 안단티노(Andantino)

제3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롭포(Allegro ma nontroppo)

 

루돌프 부흐빈더(Rudolf Buchbinder, 1946~)는 체코슬로바키아 출생으로 현재 오스트리아의 세계 정상급 클래식 피아니스트로 2007년부터 그라페네그 축제(Grafenegg Festival)의 예술 감독을 맡고 있다.

 

일괄편집_임송 박사 자료제공.jpg
임송 박사 자료제공 - https://youtu.be/C7F3DzFVaWk?si=ZTIhYr13pHHRF6yX 위 주소를 누르세요

 

새로운 음악문화 출현

연주회장은 많은 사람들이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가득 찼고, 새로운 협주곡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당시에 프랑스에서 유행했던 파리의 살롱 음악회의 관객은 주로 여성들이었는데, 빈의 청중은 80퍼센트 이상이 남자였다. 청중 명단에는 고위 귀족이 50퍼센트가 넘었다.

 

3월 하순부터는 트라트너호프 아파트 외에도 하이든이 봉직했던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에스테르하지 미코로스 백작의 초청으로 연주회를 열었다. 모차르트의 명성은 절정으로 향했다. 그는 빈의 다른 음악가들과는 뚜렷이 다른, 확고한 음악회를 펼치고 있었다.

 

모차르트의 인기는 음악 출판에도 영향을 주었다. 1783년에는 가장 초기의 독일어판 정기간행 음악잡지인 ‘마가진 데 무지크(Magazin der Musik)’에 ‘이 작품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로 가득 차 있으며 작곡가의 위대한 음악적 천재성의 흔적들이 넘친다’고 빈 특파원들이 보도했다. <다음으로 이어짐>

 

◈ 본 전문가 컬럼은 한국복지신문과 방향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복지신문 정지훈 기자 leaderjjh@daum.net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